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편두통(G43)'으로 진료를 받은 사람은 2010년 47만 9천 명에서 2015년 50만 5천명으로 나타나 5.3% 증가했다고 밝혔다. 

'편두통'으로 진료인원은 여성이 남성보다 진료환자 수가 약 2.5배 많았으며, 5년간의 성별 진료인원은 남성은 2010년 13만 2천 명에서 2015년 14만 4천명으로 9.2% 증가했다.

여성은 2010년 34만 7천 명에서 2015년 36만 1천명으로 3.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료비는 2010년 396억원에서 2015년 532억원으로 34.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편두통'으로 인한 진료환자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여성은 50대(7만 9천 명)〉40대(7만 7천 명)〉30대(5만 5천 명) 순으로 많았으며, 남성의 경우는 40~30대 연령층의 진료인원이 높게 나타났다.

2015년 기준 연령대별 인구수를 보정한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에서는 70대(1,542명)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80세 이상(1,382명), 50대 (1,266명) 순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 성별·연령대별 '편두통'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2015년).
건강보험 성별·연령대별 '편두통'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2015년).

여성은 50대(1,952명)가 가장 많았고, 70대(1,905명), 40대(1,791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은 80세 이상(1,182명)이 가장 많았고, 70대(1,075명), 60대(738명)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이 남성보다 전 연령대에서 높게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과 김종헌 교수는 전 연령대에서 남성보다 대부분 여성 환자가 가장 많은 이유에 대해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젠 (estrogen), 프로게스테론 (progesterone)이 편두통과 연관되어 있을 수 있으며, 가임기 여성에서 더욱 유병률이 높다고 알려져 있고, 일부 여성은 월경 때 편두통이 발생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인구 10만 명당 시도별 ‘편두통’ 진료인원을 분석한 결과, 제주 1,654명으로 가장 많았고, 전북 1,582명, 대전 1,271명 순이었다. 반면에, 울산이 796명으로 가장 작았으며, 인천 834명, 서울 890명 순으로 작게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과 김종헌 교수는 ‘편두통’의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 관리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편두통 원인
- 편두통의 원인은 아직 확실하지 않으나 유전적인 요소가 있으며 실제적으로 유전병과 같이 유전되는 편두통이 밝혀지기도 했다. 또한, 신경염증, 혈관수축, 반복되는 통증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중심감작 central sensitization) 등 다양한 학설이 있다. 

◆편두통 진단방법
- 편두통은 두통의 분류에 의하면 일차적 두통에 해당한다. 즉, 감염이나 손상 등 원인이 있는 이차적 두통과 달리 뚜렷이 보이는 이상 소견 없이 두통이 발생하며, 두통의 대부분(70-80%)을 차지하는 긴장성 두통과, 10-20%를 차지하는 편두통 등이 일차적 두통에 속한다.

- 편두통은 광공포증(빛에 예민하게 반응), 심한 두통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장애, 메스꺼움 (photophobia, impairment, nausea) 등의 증상을 중요한 판단기준으로 한다.

- 편두통은 일반 두통과 달리 두통이 발생하기 전 전조증상이 동반될 수 있는데 환자마다 전조 증상은 달라서, 눈앞에서 아지랑이 피는 것이 보이는 시각 증상에서부터 뇌경색과 같이 한쪽 팔다리에 힘이 빠지는 증상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편두통 방치 시 위험성
- 두통의 고통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주고 업무에 지장을 초래한다. 이로 인한 우울증도 발생할 수 있으며, 만성편두통으로 발전할 수 있어 치료가 더욱 힘들어질 수 있다. 

◆편두통 치료 예방법
- 예방법은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 것은 충분한 잠, 운동, 영양섭취다. 자신의 우선 편두통의 악화 요인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악화 요인으로는 수면장애, 피곤, 스트레스, 특정 음식, 커피와 같은 음료수, 약, 날씨, 월경, 폐경 등이 있을 수 있다.

- 음식과 같이 피할 수 있는 것은 가능하면 피하는 것이 좋고, 월경과 같은 피할 수 없는 요인이 있는 경우는 예방약을 복용함으로써 증상을 가볍게 할 수 있다. 또한, 평소 습관적으로 두통약을 복용하는 것은 그 자체가 만성두통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며, 그 밖에 두통을 악화시킬 수 있는 어깨 목 등의 통증을 평소에 치료해 두어야 한다. 

저작권자 © 메디컬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