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11~2015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유방암' 질환으로 인한 진료인원은 10만 4,293명(2011년)에서 14만 1,379명(2015년)으로 4년 간 3만 7,086명 증가(35.6%↑)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료비는 4년간 4,414억 원(2011년)에서 5,962억원(2015년)으로 1,548억원(35.1%↑) 증가했다. 2011년부터 4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진료인원 7.9%, 진료비 7.8%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5년 인구 10만명당 유방암 진료인원은 280명으로 2011년 207명 대비 73명(35.6%↑) 증가했다. 연령대별로 분석해본 결과, 2015년 기준 인구 10만 명 당 진료인원은 50대 671명, 60대 587명, 40대 419명 순으로 많았다. 고 연령일수록 2011년 대비 2015년 진료인원 증가율이 높았다. 

공단 관계자는 "40~60대의 인구 10만명 당 진료인원이 타 연령대에 비해 많은 이유는 유방암 건강검진 인원이 2011년 324만 명(대상자의 51.5%)에서 2015년 368만명(60.9%)으로 수검율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유방암의 조기검진을 통한 치료가 요인으로 볼 수 있다"며 "유방암은 재발 후에도 여러 다양한 치료 방법 등을 통해 장기간 생존하는 경우가 다른 암들보다 많으므로 이런 부분들이 반영된 통계 결과로 보여진다"고 밝혔다. 

2015년 연령대별 1인당 평균 진료비를 살펴보면, 422만원으로 나타나 2011년 423만원 대비 1만원(0.3%↓) 감소했지만, 5개년 간 큰 변화는 없었다. 1인당 진료비가 가장 높은 연령대는 20대로 720만원이었고, 뒤이어 30대 636만원, 40대 489만원순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외과 허호 교수는 20~30대의 1인당 진료비가 타 연령대에 비해 높은 이유에 대해서 "20~30대 유방암 환자들의 경우 보다 전이성이 강한 유방암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고, 다른 동반 질환이 없어 다른 연령대의 환자들 보다 항암화학요법 등 견디기 힘든 치료도 적극적으로 받게 되는 것이 한 가지 이유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유방재건술이 점차 활성화되면서 젊은 연령에서 유방재건술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 또 하나의 이유로 생각해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2015년 기준 요양기관 종별 유방암 진료비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체 진료비의 81.9%인 4,880억 원이 종합병원급(상급종합병원+종합병원)에 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전체 진료비의 58.1%인 3,464억 원이 상급종합병원 진료비로 확인됐다. 


종합병원급 진료비 비율은 2011년 83.8%(3,699억 원)에서 2015년 81.9%(4,991억원) 1.9%p 떨어진 데 반해, 상급종합병원의 진료비 비율은 2011년 56.3%(2,484억 원)에서 58.1%(3,464억원)으로 1.7% 상승했다.

최근 5개년간 유방암의 입원・외래별 입내원일수를 분석한 결과, 1인당 입원일수는 2011년 30.9일에서 2015년 34.6일로 3.7일(약 4일)이 증가한 반면, 외래 내원일수는 2011년 12.3일에서 2015년 11.6일로 0.7일(약 1일)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입원 환자의 1인당 진료비는 2015년 기준 657만 원으로 외래 환자 진료비 228만 원의 2.9배 많았다. 또한, 2011년 입원 환자 1인당 진료비인 625만 원에 비해 32만원(5.1%↑) 증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외과 허호 교수는 유방암(C50) 증상 및 관리 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유방암이란

유방의 세포가 성장이 조절되지 않아 증식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대부분 유관세포의 상피세포에서 기원하나 지방이나 결체조직 등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치료·관리

수술이 기본 치료이며 보조 치료로 방사선치료, 항암화학요법, 내분비(항호르몬)요법, 표적치료가 있다. 수술 방법과 유방암에 대한 조직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보조치료 진행 여부가 결정이 되며 환자 상태를 고려해 조절될 수 있다. 급성기 치료 이후에는 정기적인 관찰을 통해 재발 여부를 평가하게 된다.

예방법

유방암의 발병원인이 아직 명확하지 않아 완전한 예방법은 없으므로, 정기적인 암검진을 통해 조기발견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유방암의 위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위험인자들을 관리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초경이 빠르거나 폐경이 늦는 등 에스트로겐에 노출되는 기간이 길수록 유방암의 위험은 높아지며, 출산, 수유는 유방암의 위험성을 줄여준다. 비만은 폐경 후 여성의 유방암 위험도를 증가시킨다.

운동은 유방암의 발생률을 감소시켜 주며 음주는 유방암의 발생을 증가시킨다. BRCA1이나 BRCA2와 같은 유방암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갖고 있는 경우 예방적 유방절제술과 예방적 난소절제술을 받는 경우도 있으며, 타목시펜이나 랄록시펜 같은 약제를 투여하는 방법도 있다. 

저작권자 © 메디컬헤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